정보/건강정보
당뇨 / 2~3개월 혈당 수치 관찰할 수 있는 당화혈색소 수치 (HbA1c)
MSB
2023. 4. 25. 07:45
[목차]
1. 당화혈색소란
2. 당화혈색소 정상 수치
3. 당뇨병이란
3. 당뇨 진단 기준
4. 당뇨병의 증상
당화혈색소(HbA1c)란
지난 2~3개월 동안 혈당 평균치를 측정하는 값으로 혈액검사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적혈구에 붙어 있는 당화 된 A1c의 농도를 측정하는 값으로 적혈구 100개당 붙어있는 포도당의 개수를 추시화 한 것으로 당화혈색소 수치가 높을수록 혈당 수치가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당화혈색소 정상 수치
2~3개월 동안 평균 혈당 수치를 알 수 있으며 공복, 식후 혈당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있고 혈당 관리를 잘 하고 있었는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당화혈색소 정상 수치는 6.5% 이하로 보고 있으며 당뇨환자의 경우 7% 미만으로 보고 있습니다. 당화혈색소 수치가 6.5% 이상인 경우에 당뇨로 진단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당뇨병이란?

혈액중의 높은 포도당 수치로 소변으로 포도당이 나오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당뇨병의 진단 기준
- 공복 혈당 126mg/dl 이상
- 당화혈색소 6.5% 이상
- 식후 2시간 혈당 200mg/dl 이상
제 1형 당뇨병 | 제 2형 당뇨병 | |
구분 |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 저하로 인슐린 결핍으로 인한 당뇨병 | 인슐린 분비 및 작용의 결함에 의해 발생한 당뇨병 |
발생 연령 | 어린이, 성인 이전의 연령에서 발견 | 성인에게서 많이 발병 |
체중 | 마른체중 | 과체중 |
증상 | 갑자기 | 서서히 |
인슐린 | 분비되지 않음 | 소량 또는 인슐린이 제대로 작용하지 않음 |
인슐린 주사 | 인슐린 피하 주사 필요 | 식사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후 조절되지 않을시 인슐린 요법 필요 |
발병률 | 전체 당뇨의 약 10% | 전체 당뇨의 약 90% |
당뇨병의 증상
대부분이 증상이 없다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당뇨병이 진행되는 경우에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 다 갈, 다뇨
- 체중 감소
- 공복감으로 식욕 증가
- 당뇨로 인한 방병증 발생
당뇨병 증상이 있거나 의심되는 경우 가족력이 있는 경우 가까운 병원에서 상담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당뇨가 있거나 당뇨 초기단계인 경우 '대한당뇨병학회' 사이트가 있으니 건강정보, 혈당관리 등 도움되시는 정보 얻어서 건강 관리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