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 후기
아이폰에서 삼성 갤럭시 플립4 갈아탄 유저의 갤럭시폰 & 플립 장단점, 아이폰과 비교
MSB
2023. 5. 14. 11:33
갤럭시 제트 플립4
저는 아이폰 11pro를 사용하면서 애플워치, 에어팟 프로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작년 제트플립4가 출시되고 유튜브나 티브이(특히 드라마 PPL) 여기저기서 나오면서 충동을 이기지 못하고 휴대폰을 바꿨습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잘 사용하고 있는데요. 올해 또 갤럭시 플립5가 더 좋아져서 나올텐데 지금까지 플립4를 사용하면서 아이폰과 갤럭시폰, 접시는 플립4 사용 후기와 장단점을 저의 개인적인 시선으로 써보겠습니다.
플립4 가격
저는 사전구매로 삼성전자 매장에 구매했어요. 삼성카드 만들고 10만원 정도 할인 받아서 12개월 할부, 플립4 퍼플 512G로 140만원정도에 구매했어요. 비싸면 비쌀 수도 있지만 사전 혜택으로 민팃, 유튜브 프리미엄, 갤럭시 워치 30%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이 있었어요. 그리고 저는 알뜰폰을 사용하고 있어서 통신사를 통해서 구매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가격적인 부분은 만족해서 쓰고 있습니다.
아이폰에서 갤럭시 갈아탄 후기, 장단점
- 삼성페이, 교통카드(NFC)가 된다. 가장 큰 장점입니다. 지금은 삼성페이 없이 못 살 것 같아요~
- 갤럭시가 아이폰보다 버벅거림이 있다. 아이폰을 사용하다 갤럭시로 넘어왔는데 아이폰은 앱스토어 어플과 하나로 연결돼(?) 있지만 삼성과 안드로이드는 다른 플랫폼이라 최적화가 떨어져 어쩔 수 없다고 하네요.
- 갤럭시가 아이폰과 비교했을 때 생각보다 사진이 잘 나옵니다. 아이폰은 감성 필터 느낌이라면 갤럭시는 자연광에서 최고로 잘 나오는 것 같아요.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플립 4는 버튼 옆에 지문 인식하는 버튼이 있어서 화면잠금해제 하거나 은행이나 어플 인증을 할 때 간편하게 어느 자세에서나 휴대폰 각도에나 편리하게 해제 가능합니다.
- 갤럭시 휴대폰은 통화 중 다른 어플 필요 없이 통화 녹음이 있어서 편리합니다.
- 공인인증서 하나로 모든 어플을 사용할 수 있지만 아이폰은 보안 문제로 각 어플마다 공인인증서를 다운로드하여야 합니다. 보안과 편리 각각 장단점이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아이폰 UI 가 훨씬 예쁩니다. 아이폰 그 예쁘고 깔끔한 느낌은 못 따라가는 것 같아요.
- 케이블 C 타입을 공용으로 쓰고 있어 집안 가전제품과 호환해서 쓸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아이폰 15부터 C타입으로 변경된다고 하니 반가운 소식이었어요(남편이 아이폰)
- 멀티창 활용. 화면에 창을 두 개 띄어놓고 하나는 유튜브, 하나는 카톡이나 인터넷이나 다른 어플을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생각보다 많이 사용하고 있고 없으면 불편할 것 같아요.
- 아이폰은 에어드롭으로 사진 고화질 원본으로 친구들끼리 사진을 전송해서 주고받곤 했었는데 갤럭시로 넘어오면서 에어드롭을 못하겠구나 생각했는데 갤럭시끼리도 퀵셰어가 가능해서 갤럭시폰 <->갤럭시탭으로 호환해서 잘 쓰고 있습니다.
갤럭시 플립 4 실사용 후 느낀 장단점(일반 바형 휴대폰과 비교했을 때)
- 플립폰은 접은 상태에서 삼성페이 가능해서 정말 편하게 돈 쓰고(?) 있습니다.
- 접히는 폰이라 주머니나 작은 미니백에 간편하게 넣어 다닐 수 있습니다.
- 삼각대가 없을 때 세워서 사진을 찍으면 원하는 각도로 셀카를 찍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고 삼각대가 없을때 셀카뿐 아니라 앞면 액정으로 실시간 사진이 보여서 원하는 구도로 일반 사진도 찍을 수 있습니다.
- 화면 비율이 다른 휴대폰보다 길어서 유튜브 쇼츠나 인스타그램 영상을 볼 때 옆부분이 잘려서 보입니다.
- 예쁜 케이스가 생각보다 없습니다. 생각보다 일반 케이스보다 예쁜 케이스 찾기 힘들고 어울리는 게 없어서 결국은 돌고 돌아서 투명 케이스 쓰고 있습니다. 투명 케이스에 디자인이 되어 있는 것도 보라색 휴대폰 때문에 안 예뻐요~
- 접히는 휴대폰 특성상 필름이 들뜨게 됩니다. 들뜸 현상이 있을 때 주기적으로 갈아줘야 하고 강화유리 필름은 없습니다.
- 배터리 용량 3,700mAh로 타 휴대폰 5,000mAh에 비해 많이 작습니다.
- 외부 디스플레이로 간단한 알람 확인이나 시간 확인 등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