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생활정보

전기료 인상, 전기료 폭탄 예방하는 전기료 절약 방법, 전기료 감면 대상자

MSB 2023. 6. 4. 10:43
 

 

전기료 인상

2023년 5월 전기요금이 Kwh 당 8원 상승하여 기존 요금에서 5.3% 올랐고 4인 가구당 평균 전략 사용량이 313Kwh로 계산시 약 3천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기상청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덥고 습할 것으로 예상되어 사용량 증가와 누진세 적용으로 전기료 폭탄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6월 15일 전후로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을 발표 예정이라고 합니다.  

 

 

 

 

전기 에너지 절약 방법

 

전기료-절약전기료-절약

1. 전기 플러그 뽑아놓기

대기 전력 제품은 전원을 켜지 않아도 꼽혀 있는 플러그를 통해 전기가 새어 나가게 됩니다. 대기 전력으로 낭비되는 에너지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약 10%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이 대기전력으로 가구수의 대기 전력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연간 5천억원이 전기료로 소비된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텔레비전, 충전기, 밥솥, 세탁기, 에어컨 등 가전제품에도 대기전력으로 쓰이는 가전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가전 콘센트가 꼽혀있는 것만으로도 대기전력으로 소비되어 '전기흡혈귀'라도고 불립니다. 

대기전력을 줄이는 방법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를 뽑아 놓거나, 절전탭(개별 스위치가 있는 멀티탭)을 사용하거나, 대기전력저감우수제품 에너지절약 마크 제품을 사용합니다.

 

2. 적절한 실내 온도 유지

권장 냉난방 온도를 준수해서 냉방/난방 용품을 사용합니다. 여름철 26~28도, 겨울철 18~20도가 실내 적정 냉난방 온도라고 합니다. 냉난방 온도 1도씨 조절시에 7%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겨울에는 전기장판, 전기온풍기, 전기히터 등 전열기의 사용을 자제하고 내복을 입어줍니다. 

여름에는 에어컨 필터를 청소해서 가전제품을 에너지 효율을 높여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냉방 제품으로 에너지 효율이 높은 가전제품을 사용하면 5등급 대비 1등급 제품은 에너지를 35%를 절약할수 있습니다. 에어컨 1대는 선풍기 30대의 전력을 소비하므로 에어컨을 켜서 온도가 유지되면 에어컨을 약하게 유지시키고 선풍기를 함께 사용해주면 전기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3. 사용하지 않은 공간의 조명을 소등

사용하지 않은 방의 조명을 소등하고 일반 조명보다는 LED를 사용하면 형광등의 50%, 할로겐이나 백열등의 20%의 전력을 소비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4. 에너지 효율 등급이 높은 제품 사용하기

에너지 효율 등급 1등급은 5등급에 비해 약 30~40%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마크가 부착된 대기 전력 저감 우수 제품을 사용하면 대기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5. 세탁기 온도 설정

세탁기를 돌릴때 소비되는 에너지의 90%가 물을 데우는데 사용된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세탁기의 물 온도를 높게 설정할 수록 사용하는 전력이 커진다고 합니다. 찬물로 세탁해도 세탁 기능에는 큰 차이가 없다고 하니 가급적이면 찬물로 세탁하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 세탁물을 한번에 모아 사용하도록 합니다. 

 

6. 식기세척기, 다리미 등 가전제품은 한번에 모아서 사용하도록 합니다.

 

7. 냉장고 자리 비우기

냉장고에 음식을 가득 채우지 않고 60% 정도만 채워 유지할시에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또 뜨거운 음식을 그대로 냉장고에 넣지 않고 한김 식혀 넣도록 합니다. 또 냉장고 문을 자주 여닫지 않도록 합니다. 

 

8. 탄소포인트제도 사용하기

탄소포인트제는 과거 월별 평균 사용량에 비해 현재 사용량이 감소했다면 절감비율에 따라 탄소포인트제를 부여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감소율이 5% 이상이 되어야 포인트를 받을 수 있으며 연 2회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1P당 2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9. 비데 온열 시트 기능 꺼두기

비데의 온열 기능은 비대의 온도가 떨어지면 자동으로 데우기 위해 에너지가 사용되며 비데를 24시간 켜두면 어마어마하게 에너지가 들어가기 때문에 개별 스위치를 달거나 비데 온열 시트 기능을 꺼두도록 합니다. 

 

전기료-절약

 

전기료 감면 받는 방법

 

 

 

 

1. 다자녀 가구 할인

가구원 중 자녀가 3인 이상인 가구는 전기 요금을 감액받을 수 있습니다. 18세 미만의 자녀는 주민등록상 세대를 분리한 경우에도 같은 가구로 보기 때문에 전기료를 감면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감면금액 : 월 전기요금의 30%(16,000원 한도)

 

 

2. 장애인/유공자/독립유공자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 국가유공자등예우및지원에관한 법률에 의한 1~3급 상이자, 5.18민주유공자 예우에 의한 1~3급 상이자,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의한 독립유공자 또는 독립유공자의 권리를 이전받은 유족 1인 

감면금액 : 월 16,000원(여름철 2만원)

 

3. 기초수급자 

 1) 주택용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 7조 1호, 3호에 해당하는 수급자 

     감면금액 : 월 1만원 한도(여름철 1만 2천원)

 2) 심야전력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 7조 1호~4호에 해당하는 수급자

    감면금액 : 갑 31.4%, 을 20%

 

4. 차상위 계층

 1) 주택용 : '국민기초생활법'에서 정한 차상위 계층으로 ①'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 9조 제5항 ②'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별표2 제 3호 라목 ③'장애인복지법' 제 49조, 제 50조 ④'한부모가족지원법'제 5조 ⑤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규칙 제 38조 제4항에 의하여 차상위계층 확인서를발급받은자 

    감면금액 : 월 8천원(여름철 1만원)

 2) 심야전력 : '국민기초생활법'에서 정한 차상위 계층

   감면금액 : 갑 29.7%, 을 18%

 

5. 대가족

주민등록상 세대원수가 5인 이상인 가구 

감면금액 : 월 30%(월 16,000원 한도)

 

6. 출산가구 

 주민등록표상 출생일로부터 3년 미만의 영아가 포함된 가구

 감면금액 :  월 30%(월 16,000원 한도)

 

7. 생명유지장치

호흡기장애 또는 희귀 난치성질환으로 산소발생기, 인공호흡기 등 생명유지장치를 사용하는 가구

감면금액 : 월 30%

 

 

신천방법

전기요금 할인 신청서를 작성하여 한국전력고아에 신청하면 됩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모바일, 지사 방문, 우편 및 FAX로 신청 가능합니다. 

반응형